Amuse markup 사용 설명서
아나키스트 도서관 사서를 위한 문법
Muse markup이란?
Muse 문서는 특수한 맥락 기반 markup 규칙을 따라 출력물의 형식을 결정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Muse는 들여쓴 문단을 인용문으로 인식합니다. '일반 문자열'과 다르다는 사실을 드러내는 데 들여쓰기를 사용합니다.
Markup 규칙은 그리 많지 않으며, 사용자가 형식을 지키는 데 시간을 뺐기지 않고 문서 작성에 집중할 수 있도록 모두 최대한 간결하게 만들어졌습니다.
본문이 소개하는 Muse는 존 위글리John Wiegley가 만들고, 마이클 올슨Michael Olson이 유지 보수했으며, 마르코 페소토Marco Pessotto가 본 형태로 도입하기 위해 크게 기여했습니다.
문단
Muse에서 서로 다른 문단 사이는 빈 열로 구분해야 합니다.
가운데 정렬과 오른쪽 정렬과 인용문
공백 6칸 이상, 20칸 이하로 시작하는 열은 가운데로 정렬됩니다.
공백으로 가운데 정렬합니다.
또는 가운데 정렬을 원하는 문자열을 <center>
명령으로 둘러싸도 됩니다.
명령으로 가운데 정렬합니다.
만약 공백 20칸 이상으로 새 열을 시작하면, 오른쪽으로 정렬됩니다. 이는 서명을 표기할 때 유용합니다.
공백으로 오른쪽 정렬합니다.
<right>
명령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명령으로 오른쪽 정렬합니다.
다음은 인용문입니다:
빈칸 2칸 이상, 6칸 이하로 시작하는 새 열은 인용문이 됩니다. 2~6개의 빈칸으로 시작하는 열은 인용구가 됩니다.
<quote>
명령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위 내용의 source
공백 6칸 이상, 20칸 이하로 시작하는 열은 가운데로 정렬됩니다. 공백으로 가운데 정렬합니다. 또는 가운데 정렬을 원하는 문자열을 =<center>= 명령으로 둘러싸도 됩니다. <center> 명령으로 가운데 정렬합니다. </center> 만약 공백 20칸 이상으로 새 열을 시작하면, 오른쪽으로 정렬됩니다. 이는 서명을 표기할 때 유용합니다. 공백으로 오른쪽 정렬합니다. =<right>= 명령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right> 명령으로 오른쪽 정렬합니다. </right> 다음은 인용문입니다: 빈칸 2칸 이상, 6칸 이하로 시작하는 새 열은 인용문이 됩니다. 2~6개의 빈칸으로 시작하는 열은 인용구가 됩니다. <quote> =<quote>= 명령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quote>
source 문자열 길이를 짧게 유지하려면, 들여쓰기를 문서 source를 통틀어 일괄하게 사용 해야 함을 명심하십시오. 문단별 1개 열을 사용하기도 문제되지 않습니다. 다만 후자의 경우, 문단 사이를 빈 열로 구분해야 하는 규칙은 여전히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런 식의 불규칙한 들여쓰기는 안 되지만,
선행하는 공백 수가 일정하기만 하다면 문제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이런 식의 불규칙한 들여쓰기는 안 되지만, 선행하는 공백 수가 일정하기만 하다면 문제되지 않습니다.
또한 들여쓰기나 인용구 등 문자열군을 나타내는 =<명령>=은 별도 열 에 위치해야 하며, 특히 목록이나 표 등, 선행하는 공백으로 나타내는 환경enviroments과 혼용해선 안 됩니다 .
자구적 문단 Literal Paragraphs
<example>
명령은 원본 공백을 보존하거나, 모노스페이스 문자열을 출력해야 하는 예문에 사용합니다.
<example> =<example>= 명령은 원본 공백을 보존하거나, 모노스페이스 문자열을 출력해야 하는 예문에 사용합니다.
원본 Muse Markup에서 가용한 <literal>
명령은 없습니다. 본 위키는 인터넷에 노출돼 보안에 취약하기 때문입니다.
<example>
명령은 문자열을 있는 그대로 출력합니다. 출력물의 overflow 위험이 있으니, 가능하면 60행 이내로 각 열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example>
명령은 {{{
}}}
으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 이렇게도 코드 원문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
열 분할
열 분할이 필요할 경우, <br>
명령을 사용하십시오. Muse는 빈 열을 자동으로 새 문단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필요 없을 것입니다.
다량의 열 분할을 출력하려면 대신 <verse>
명령을 사용하십시오.
본 문단은 여기서 나뉘고
아래에서 계속됩니다.
본 문단은 여기서 나뉘고 <br> 아래에서 계속됩니다.
그리고 본 문단은 여기서 나뉘고,
새 문단에서 시작합니다.
그리고 본 문단은 여기서 나뉘고, <br> 새 문단에서 시작합니다.
쪽 나누기
공백 최소 6칸으로 들여쓴 별도의 열에 별표 *
를 다섯개를 넣으면 PDF 출력 시 쪽을 나눌 수 있습니다
웹싸이트에서는 *
다섯개가 가운데 정렬돼 출력됩니다.
*****
한편, *
는 쪼개는 기능 없는 장식 문자로 취급합니다.
***
제목 단계 Heading Level
형식에 따라 제목 단계는 장 혹은 절로 출력합니다. 제목 단계를 나타내려면 새 문단을 하나 이상의 별표로 선행합니다. 해당 절의 문자열은 새 문단에서 시작합니다.
제목 단계는 총 5종이며 전부 출력됩니다.
최상위 단계는 '부'이며 긴 문건에만 사용하기 바랍니다. 본 사용 설명서에서는 'Muse markup이란?' 제목에 사용하였습니다. 첫 레벨은 '부'입니다. 이것은 더 긴 텍스트에만 사용하여주십시오. 이 문서에서는 제목에 사용되었습니다.
두번째 단계는 '장'입니다. '장' 단계는 PDF에서 새 쪽을 시작합니다
세번째 단계는 가장 자주 사용하게 될 것이며 '절'입니다. 본 절의 '제목 단계 Heading Level' 문자열에도 적용했습니다.
네번째 단계는 '부절'입니다.
다섯번째 단계는 매우 매우 낮은 단계이며 목차에 표기되지 않습니다.
* 첫번째 단계, 부 ** 두번째 단계, 장 *** 세번째 단계, 절 **** 네번째 단계, 부절 **** 다섯번째 단계, 부부젤라 subsubsection
대체 제목 단계 표시하기
[ 본 명령문은 2020-02-16 출시한 Text::Amuse 버전 1.40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
경우에 따라서 목차에는 실제 제목보다 짧은 제목을 기재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아래 명령문으로 적용 가능합니다.
** 목차에 표시할 대체 제목 | 본문에서 표시할 실제 제목
문서 서두 명령문
문건의 본문 이전에 #
문자로 나타내는 내용입니다.
서두 명령문은 #명령문 명령문 내용
형태로 작성합니다.
아래 목록에 없어도 서두 명령문은 완전히 임의로 정할 수 있습니다. 어찌 됐든, 아래 명령문은 기본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우선 Muse가 인식하는 서두 명령문입니다.
서두 명령문 | 비고 |
---|---|
#author
|
문건의 저자입니다. |
#authors
|
사용하지 않을 경우, author 의 내용을 따릅니다. ; 나 , 로 각 저자를 나열합니다. author 은 출력되는 저자를 나열한다면, #authors 는 도서관 기록에만 영향을 끼칩니다.
|
#title
|
문건의 제목입니다. |
#lang
|
영어 알파벳 두세 문자로 나타내는 문건의 언어입니다. 기본은 en 입니다. 2025년 7월 9일부 한글 문건은 ko 로 나타낼 수 있게 됐으며, 다른 언어로 적을 경우, PDF 출력 시 한글은 출력되지 않습니다.
|
#LISTtitle
|
영어 문건은 제목이 정관사 The나 부정관사 A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 도서관 에 알파벳순 기록이 번거로워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한국어 도서관에서는 사용할 일이 없습니다. |
#subtitle
|
부제목이 있을 경우 사용합니다. |
#topics
|
저자 명단처럼, , 나 ; 로 구분 나열합니다. 문건을 주제별로 도서관에 기록하는 데 쓰이니, 문건 당 3개씩 사용하기를 추천합니다. 또한 새 주제 서두 명령문을 추가하기 전, 비슷한 주제 명령문이 있는지 확인하기 바랍니다. 새 주제 명령문은 구체적이고 자명하게 작성하기 바랍니다.
|
#date
|
문건의 출판 연도를 적습니다. 추가 정보는 #notes 명령문에 기재합니다.
|
#notes
|
원문 제목, 역자, 출판 날짜 등, 문건의 추가 정보를 나열합니다. |
#source
|
인터넷 글, 원본, 자체 출판 등 원문 출처를 밝힙니다. |
#publisher
|
출판사 정보가 있다면 나열합니다. |
#isbn
|
ISBN이 있다면 나열합니다. |
#rights
|
저작권 정보를 나열합니다. |
#seriesname
|
만약 문건이 연속간행물의 일부라면, 간행물의 제목을 기재합니다. |
#seriesnumber
|
만약 문건이 연속간행물의 일부라면, 몇회차인지 기재합니다. |
#hyphenation
|
아래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일부 정보의 출력 형식을 결정합니다. 이 정보는 특정한 값을 필요로 하고, 주로 1이 true 값을 의미합니다.
서두 명령문 | 비고 |
---|---|
#slides 1
|
이 문서가 정규 형식뿐 아니라 슬라이드로도 제공됨을 의미합니다. |
#DELETED REASON
|
이 문건을 도서관 싸이트에 출력하지 말 것을 의미합니다. |
#notoc 1
|
목차를 만들지 않습니다. |
#nofinalpage 1
|
마지막 쪽을 만들지 않습니다. |
#continuefootnotes 1
|
장 사이 주석번호를 유지합니다. |
#centerchapter 1
|
장의 제목을 가운데 정렬합니다. |
#centersection 1
|
절의 제목을 가운데 정렬합니다. |
문자 굵게, 기울임, 모노스페이스 등
문자열을 강조하기 위해 특정한 문자로 해당 문자열을 둘러쌉니다.
형식 | 명령문 |
---|---|
기울임 |
텍스트 앞뒤에 *
|
굵게 |
텍스트 앞뒤에 **
|
굵고 기울임 |
텍스트 앞뒤에 ***
|
모노스페이스 |
텍스트 앞뒤에 =
|
이는 다음으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형식 | 명령문 |
---|---|
기울임 |
텍스트 앞뒤에 <em>
|
굵게 |
텍스트 앞뒤에 <strong>
|
굵고 기울임 |
텍스트 앞뒤에 <strong><em>
|
모노스페이스 |
텍스트 앞뒤에 앞뒤에 <code>
|
밑줄은 기울임체로 대체해 지원하지 않습니다.
각주와 역주
각주는 [
]
안에 숫자로 넣어 나타냅니다.
역주는 {
}
안에 숫자를 넣어 나타냅니다.
여기 본문이 있으며 다음 각주[1]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2] 본문은 여기 계속됩니다. <sup>{1}</sup> ; =<sup>= 명령문은 안 써도 됩니다. [1] 여기 각주가 있으며 source에는 여러 열에 걸쳐도 됩니다. 들여쓰기가 같다면 여러 문단에 걸칠 수도 있습니다. [2] 하지만 이건 앞에 공백 때문에 안 됩니다. {1} 이건 역주입니다. 제발 역주는 별도로 표기해주시기 바랍니다.
외부 링크
외부 링크는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url][링크 제목]]
또는 제목이 없을 경우, 제목을 다음과 같이 생략해도 됩니다.
[[url]]
수평선
위아래 빈 열인 -
4 개 이상을 입력하면 수평선이 생깁니다.
출력하지 않을 문자열
주석은 출력하지 않으며 ;
로 나타냅니다.
; 흔히 주석은 사서가 미쳐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comment>
명령어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HMTL 출력물은 <div>
명령어와 display:none
으로 대체하니, CSS를 사용해 주석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대본과 참고문헌
대본은 수동으로 내어쓰기 등 형식을 설정하기 귀찮을 때 사용하며, <play>
명령문으로 나타냅니다.
Pol. Ophelia, walke you heere. Gracious so please ye
We will bestow our selues: Reade on this booke,
That shew of such an exercise may colour
Your lonelinesse. We are oft too blame in this,
‘Tis too much prou’d, that with Deuotions visage,
And pious Action, we do surge o’re
The diuell himselfe
King. Oh ‘tis true:
How smart a lash that speech doth giue my Conscience?
The Harlots Cheeke beautied with plaist’ring Art
Is not more vgly to the thing that helpes it,
Then is my deede, to my most painted word.
Oh heauie burthen!
<play> **Pol.** Ophelia, walke you heere. Gracious so please ye <br> We will bestow our selues: Reade on this booke, <br> That shew of such an exercise may colour <br> Your lonelinesse. We are oft too blame in this, <br> ‘Tis too much prou’d, that with Deuotions visage, <br> And pious Action, we do surge o’re <br> The diuell himselfe **King.** Oh ‘tis true: <br> How smart a lash that speech doth giue my Conscience? <br> The Harlots Cheeke beautied with plaist’ring Art <br> Is not more vgly to the thing that helpes it, <br> Then is my deede, to my most painted word. <br> Oh heauie burthen! </play>
원본 Muse와 다르게, 본 Muse는 외부 인용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biblio>
명령으로 참고문헌 목록을 만들 수 있어 별도 목록을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The author, Title, published on AMuseWiki, with a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long description
Another author, Another title, published in the real world. with a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long description
---- <biblio> The author, *Title*, published on [[http://amusewiki.org][AMuseWiki]], with a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long description Another author, *Another title*, published in the real world. with a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very, long description </biblio>